학사일정
- 2026학년도 캠퍼스 간 이동(전과) 신청2025/11/04
- 재입학 신청2025/11/10
- 겨울 계절학기 수강신청2025/11/12
- 학기 3/4 기준일2025/11/17
- 전과(전공변경) 신청2025/11/17
- 전공미결정 학부생 전공신청2025/11/17
- 대학원 외국어시험대체강좌 접수2025/11/26
- 졸업연기 및 조기졸업 신청2025/11/26
- 교직복수(연계)전공 신청/포기2025/11/26
- 다전공, 마이크로/나노디그리 신청/포기2025/11/26
우리학과의 최신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NOTICE
학과공지
<2025학년도 학과동아리 활성화 지원사업 안내>학과동아리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학과동아리들의 1년 동안의 활동을 여러 각도에서 평가하고, 그 결과물(신청서류 등)을 심사하여 우수 학과동아리 및 활성화 장학금을 지급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1. 사업대상 : 2025학년도에 운영 중인 학과동아리(활동(실적)기간 : 2025.3. ~2025.11.) 2. 지원 제외 대상 가. 본교의 건학이념에 위배되는 목적과 활동을 하는 동아리 나. 지도교수가 배정되어 있지 않은 동아리 다. 회원수가 10명 이하인 동아리 3. 사업일정일정내용비고2025.10. ~사업계획(안) 보고 및 안내 2025.11.24.(월) ~ 12. 4.(목)신청서류(실적보고서 등) 접수학생서비스팀2025.12.8.(월) ~ 12.(금)서류검토, 우수동아리 심사 2025.12.16.(화)우수동아리 수상발표 홈페이지 게시2025.12.23.(화)결과보고 및 활동지원금(장학금) 지급 ※ 사업일정은 학내 사정 등의 이유로 조정될 수 있습니다. 4. 신청서류 제출 가. 제출서류 : 2025학년도 학과동아리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서(첨부1~4 포함) 나. 제출방법 : 학과동아리 대표자 학생회관 2층 학생서비스팀 방문 제출 1) 학과동아리 대표자는 '2025학년도 학과동아리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서(첨부1~4 포함)'를 작성하여 지도교수, 학과 주임교수 서명을 받은 후 제출 2) 직전학기 성적이 장학금 지급 기준 미충족 대표자는 장학금 지급 불가 (반드시, 성적 기준 이상의 대표자 작성 필요) 다. 제출기한 : 2025.12. 4.(금), 17:00 까지 5. 학과동아리 우수동아리 및 활성화 장학금 1) 우수동아리 장학금 지급 ① 선정방법 : 총 6개 분야별로 평가결과를 근거로 1순위(최우수), 2순위(우수)를 정함. ② 지원금액 : 금6,600,000원(금육백육십만원) ③ 지원내역 : 6개 분야별 2개 동아리 최우수 60만원, 우수 50만원 분야불교학술취업봉사문화예술체육최우수600,000원600,000원600,000원600,000원600,000원600,000원우수500,000원500,000원500,000원500,000원500,000원500,000원 2) 학과동아리 활성화 장학금 지급 ① 지원대상 : ‘학과동아리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서’를 제출하고 서류전형을 통과한 동아리 (최우수, 우수 선정 동아리 제외) ② 지원금액 : 금9,400,000원(금구백사십만원) ③ 지원내역 : 동아리별 20만원 지급[47개 동아리] ※ 신청동아리가 예산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심사기준을 근거로 분야별 & 학과별 상황 등을 고려하여 활성화 지원금을 지원함. 3) 지급방법 : 대표자명의 통장으로 장학금 지급 붙 임 : 2025학년도 학과동아리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서(첨부1~4) 부. 끝.
10.292025
<2025 전국한의학학술대회>■ 2025 전국한의학학술대회 개요(수도권역)- 주제 : 온고지신 - 통합의학의 중심, 한의학- 주최·주관 : 대한한의학회- 후원 : 보건복지부, 대한한의사협회, 한국한의약진흥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2025 전국한의학학술대회(수도권역) 일정권역개최일자세션주관학회명개최장소수도권역12/14(일)S1메인세션(허리 질환의 모든 것)서울 COEX오디토리움 (3F)특별한일학술심포지엄특별초음파 핸즈온 실습특별피부미용 레이저 핸즈온 실습■ 학부생 등록 안내- 등록 기간: 2025년 3월 4일(화) ~ 12월 10일(수)- 등록절차 : 개인 회원가입 → 회원구분 (특별회원(학생)) → 증빙서류 재학증명서 또는 학생증 첨부 → 가입후 학술대회 클릭해서 (학부생)신청 → 카드결제로 사전 접수 (무통장 입금은 사무국으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등 록 비 : 20,000원- 수강방법 : 각 권역별 행사장 현장 강의 수강- 웰컴키트(에코백, 필기구 등) 제공
10.242025
2025학년도 2학기 한의과대학 원법사장학회 장학생 선발 안내 2025학년도 2학기 원법사장학회 장학생 선발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관심 있는한의과대학 재학생은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신청기한 : 2025.9.29.(월) ∼ 10.13(월), 17시까지 2. 장학별 선발 내용장학명추천기준장학금비고신청자격2025-2 정규학기 재학생 (한의예과 4학기 이내, 한의학과 8학기 이내 등록자)원법사장학• 직전학기 20학점/2.0 이상• 모범, 성적우수, 경제사정 어려움• 불교신행활동 실적• 장학수여식 필참 - 일시 : 2025.11.2.(일) 오전 11:00 - 장소 : 원법사 약사전(포항 신광면 위치)5명 (1인당 100만원)학교에서 인솔 예정(10시 출발→ 10시 40분까지 원법사 도착) 3. 제출서류 : ①장학신청서, ②개인정보동의서, ③장학수여식 참석 확인서, ④학년담임 장학추천서, ⑤불교신행실적, ⑥본인명의통장사본 ※ 방문제출 서류만 인정함. 온라인 제출 불가 4. 학년담임 추천 : 학년 담임 추천(최대 2명까지) 5. 장학추천일정일정내용비고~ 10.13.(월), 17시까지장학신청서 접수홈페이지, 게시판, 학년별 대표 공지2025. 10월 셋째주 예정한의과대학 장학위원회 심의 2025. 10월 넷째주까지선정자 문자 통보SMS 발송 6. 장학 문의처 : 한의과대학 학사운영실 (경주 054-770-2362~5), (일산 031-961-5821~2) 첨 부 : 붙임양식 1,2,3,4 각 1부. 2025. 9. 29.한의과대학 학사운영실
09.292025
<2025학년도 2학기 한의대특별장학 선발 안내>한의과대학 재학생 대상 장학생을 선발하려고 합니다. 관심 있는 학생들은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기간 내 신청바랍니다. - 아 래 - 1. 신청기한 : 2025년 9월 30일(화)까지 2. 신청대상 : 한의과대학 소속 정규학기 재학생 (신청제한 대상 : 휴학자 및 학점등록자) 3. 장학별 신청기준장학명성적기준신청기준선발인원(장학금액)한의대특별장학(생활비지원)직전학기 취득20학점/3.0 이상• 가정형편 어려운 자• 학교와 한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자4명(1인당 50만원) 4. 장학 신청 방법 가. 제출서류 : ①장학신청서 ② 학년단임 추천서(학생개인정보동의필수) ► 장학당 최대 2명 추천 ③ 소득분위 확인서 또는 경제적 어려움 증빙 가능자료 ④ 기타 증빙서류 (불교신행포함) 나. 제 출 처 : 경주 및 일산 한의대학사운영실 (직접 방문 제출, 온라인 제출 불가) 다. 문 의 처 : 경주 054-770-2362~5, 일산 031-5821~22 2025년 9월 26일 한 의 과 대 학
09.262025
동국대 한의대 이경재 학생, SCI 학술지에 논문 게재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및 장내 공생미생물 사이 연관성 연구“장내 미생물과 골대사 연구 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기강서 기자 (좌: 김호준 교수 중: 왕징화 교수 우: 이경재 학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이경재 학생(본과 3학년 휴학)이 국제 SCI학술지 ‘Bone’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이번 논문에는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 김호준 교수와 한의학연구소 왕징화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의료비 부담을 높이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꼽힌다. 골다공증은 단순한 호르몬이나 영양 문제에 그치지 않고, 장내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이 골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점차 입증되고 있다. ‘Clinical evidence linking osteoporosis and the gut microbiome in postmenopausal females: A systematic review’라는 제하로 게재된 이번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과 장내 공생미생물 사이의 연관성을 임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이다. 특히 이번 논문에서는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메타분석으로 종합해 골다공증의 병태생리에 희귀 장내 세균과 그 대사산물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된 16편의 임상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군에서 같은 연령 건강인에 비해서 장내 세균 다양성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지 않고, 일부 희귀 세균(예: Barnesiella, Odoribacter, Romboutsia 등)의 소실, 또는 트립토판 대사 산물(예: IAA)과2차 담즙산(예: GLCA 등)의 저하가 골대사 저하와 관련될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이 폐경 후 골다공증의 병태생리에 관여하며, 향후 장내 미생물 조절을 기반으로 한 프로바이오틱스, 식이 보충제, 발효 한약, 맞춤형 처방 등은 골다공증 예방·치료 시장에서 중요한 혁신 기술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특히 희귀 세균 복원과 장내 대사산물(Iaa, GLCA 등) 증진을 표적으로 한 연구는 한의약 및 기능성 식품 산업의 새로운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장내미생물 조절을 통해 골다공증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생활습관·영양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민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호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관점을 열었으며, 장내 미생물과 골대사 연구가 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며 “향후 임상과 기초를 아우르는 연구를 확대해 맞춤형 치료전략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지원하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R&D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게재 논문은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doi.org/10.1016/j.bone.2025.117644).참조: 동국대 한의대 이경재 학생, SCI 학술지에 논문 게재 > 뉴스 | 한의신문
09.23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