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공지
- 등록일
- 2024-11-11
- 작성자
- 한의과대학
- 조회수
- 97
“어려운 학생들에게 미력하게나마 도움되길”
최윤용 ㈜으뜸생약 대표, 동국대 WISE 캠퍼스에 장학기금 1억원 ‘기부’
현직에서 더 일하면서 ‘최윤용 장학금’으로 볼륨 키워 나갈 것
- 기강서 기자
- 등록 2024.10.28 09:43
최윤용 (주)으뜸생약 대표
<편집자주> 최근 최윤용 ㈜으뜸생약 대표가 동국대 WISE 캠퍼스에 1억원의 기금을 전달했다. 이번 기금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을 위한 장학기금으로 쓰일 예정이며, 본란에서는 최윤용 대표에게 이번 기부를 진행하게 된 계기 및 올바른 기부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
Q. 자신을 소개한다면?
서울 양천구에서 큰나무한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한의사 최윤용으로, 동국대 한의대를 졸업했다. 현재 한의원 외에도 한의원 부설 원외탕전실(행림원외탕전)과 사향, 웅담, 녹용 등 원료 한약재를 생산하는 GMP 제약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Q. 동국대 WISE 캠퍼스에 1억원을 기부했다.
마흔이 넘으면서 남에게 도움이 되는 삶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다짐하면서 여러 곳에 조금씩 기부활동을 해 왔었다. 한의사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했던 강의에서 발생한 수익금도 “내가 진료를 해서 번 돈이 아니고 원장님들이 모아주신 돈”이기에 2억5000만원을 기부한 적이 있다. 그런데 정작 내가 기부하는 돈을 벌게끔 한의사로 만들어 준 대학교에는 무엇을 했을까 생각하다가 어려운 한의대 학생들에게 미력하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모교에 기부를 결심하게 됐다.
Q. 이번 기부를 결정하게 된 계기는?
나 또한 대학을 다니면서 집안 형편이 넉넉하지 못해 집안 어르신이나 주변 분들의 도움으로 학비를 해결한 적이 있다. 되돌아보면 그러한 고마운 분들이 계셨기에 무사히 대학을 졸업할 수 있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그때보다 어려운 학생이 적을 수도 있겠지만, 도움이 필요한 친구가 있을 것이기에 기부를 결정했다.
Q. 기부금이 어떻게 활용되길 바라는가?
학교에 기부하기를 결정하고 교수님들과 논의하면서 학교발전기금이나 교육 환경 개선에 대한 기금으로의 활용도 제안을 받았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을 위한 장학기금으로 쓰였으면 좋겠다는 의지를 전달했고, 의견이 받아들여져 장학기금으로 출발하기로 했다.
앞으로는 이번 기부에서 그치지 않고 기부금을 늘려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친구들이 많아지도록 하고 싶다. 이를 통해 앞으로는 경제적인 곤란함으로 학업의 유지에 지장이 있는 후배들이 줄어들기를 바란다. 나 스스로에게는 더 열심히 일해야겠다는 동기가 부여된 것도 감사하게 생각한다.
Q. 올바른 기부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점은?
내 주변에 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사람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 이야기를 듣고 내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겠다는 각오도 다지게 된다. 주변에는 저보다 더 많은 돈과 시간, 명예, 권력을 가진 분들이 계신다. 하지만 그분들이 모두 저보다 더 행복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더 많이 가지기 위해 힘들어하기도 하고, 가진 것을 잃지 않기 위해 애를 쓰는 모습이 때로는 안쓰럽기까지 하다. 덜 가지려 한다면 하지 않아도 되는 고민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얼마 전 ‘어른 김장하’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았다. 진주에서 한약방을 운영하는 할아버지 이야기인데, 거기에 나오는 그분의 말씀이 나에게는 꽤 큰 울림으로 아직 여운이 남아있다.
“똥은 쌓아두면 구린내가 나지만 흩어버리면 거름이 되어 꽃도 피우고 열매도 맺습니다. 돈도 이와 같아서 주변에 나누어야 사회에 꽃이 핍니다.”
검색해 보니 그전에 강원도 정선에 방재초등학교를 설립하신 할머니도 같은 말씀을 하셨다. 두 분의 공통점은 미련 없이 본인이 해야 할 일을 하고 싶어서 하신 것이기에 미력하나마 나 또한 자기만족을 위해 실행하게 됐다. 나는 이것을 기분이 좋아지는 기부라고 표현하고 싶다.
Q. 동국대 한의대 총동문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데.
동문회는 친목 단체다. 강제성이나 의무감에 의한 참여보다는, 자발적 그리고 자부심과 소속감으로 즐겁게 동참하는 동문회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지나간 시간에 대한 아련한 추억을 교감할 수 있는 작은 모임들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지고, 그런 작은 모임들이 모이고 모여서 총동문회로 연결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불어 후배들을 위한 작은 정성 또한 동문회를 통해 모아지고 전달되는 아름다운 동문회가 됐으면 좋겠다. 마음에서 시작되는 선한 영향력은 작든 크든 누구나 할 수 있는 실천이다.
Q. 앞으로의 활동 계획은?
가칭 ‘최윤용 장학금’의 볼륨을 키우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업도 잘 운영해야 된다. 60세 은퇴가 버킷리스트였는데 2~3년 더 현직에서 일하기로 마음을 정하게 됐다.
늦게나마 시작한 공부(대학원 박사 과정)도 올해 마무리할 예정이기에 내년부터는 교수나 연구원으로 있는 젊은 후배님들에게 지원을 하면서 새로운 연구를 해보려 한다. 진료나 사업도 그렇지만 내가 즐겁기 위해서 하는 일은 늘 흥분된다. 성격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누구도 안 가본 길을 가는 것에 대해 개척자로서의 설렘이 아직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한약재 시장의 가격 및 공급 안정을 위한 해외 생산지 개척도 3~4년 전부터 흥미를 가지고 추진하고 있다. 현재는 연구소에서의 시범재배를 마치고 올해 처음으로 노지에 파종했으며, 약재 수입처의 탈중국화를 목표로 황기, 당귀, 백출, 감초, 작약 등 사용량이 많은 약재를 위주로 재배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한약재의 안정적 공급 이외에 대부분이 저소득 국가인 생산국의 농가 소득 증대에도 도움이 되는 장기적 사업이다.
Q. 후배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양의사는 의료기기 회사에서 만든 기기로 진단하고, 제약회사에서 만들어준 약으로 처방하는 기계적인 기술자다. 이에 반해 한의사는 사람의 몸을 보고, 만지고, 듣고 하면서 진단해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약을 만들어 치료하는 섬세한 예술가이다.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의사가 가지지 못한 의료기기와 약을 사용하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지금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무기를 잘 쓰기 위한 공부와 훈련도 중요하다고 본다. 이런 말을 하는 나 자신도 한의사가 할 수 있는 것이 참 많구나라고 느끼기 시작한 것이 십여 년 전이다. 그래서 후배님들에게 하고픈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가만히 있으면 퇴보하는 것이다. 뭐라도 해라”